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ted_wiki
검색
검색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에스라-느헤미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
에스라-느헤미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관리자
.
이 문서는 편집하거나 다른 명령을 할 수 없도록 보호되어 있습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개요 == 히브리어 원본과 헬라어 성경 70인 역에서는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를 한 권으로 취급한다. 라틴어 번역본과 마찬가지로 영어 번역본에서는 두 권으로 나눈다.[1][2] 일반적으로 기원후 2세기 경에 히브리 성경의 정경이 확립되면서 이 두 책이 하나로 묶이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 이 시기에 유대교의 경전이 정리되면서 두 책이 연결된 역사적 배경과 주제[3]를 고려하여 하나의 책으로 묶이게 되었다.[4] (tedwiki도 이에 따라 위키문서작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서, 한 위키문서로 작성한다.) == 저자 == 느헤미야; 고국에서 온 동료로부터 유다에 큰 환난이 있었고 그 성은 파괴되었다는 슬픈 소식을 듣고 슬피 울며 금식하며 하나님께 간절한 기도를 드리게 된다. (느1장) 이 때 왕의 술 관원이 되었는데, 이는 왕의 신임을 받은 고관이 맡은 직책이었다.[5] #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깊은 관심과 간절한 중보기도(4개월간) # 주님의 말씀을 주장하며 기도함(느1:8-9) 만일 너희가 범죄하면 ... 돌아오게 하리라 (레26:27~45, 29:14~30:10) # 하나님께서 계획하셨던 일을 하기에 적합한 자질과 좋은 기회를 포착 # 마침내 기도의 응답; [[wikipedia:Artaxerxes_I|아닥사스다 왕]][6]이 그의 근심에 연민어린 관심을 보임(느2:2) # 성전재건을 윤허받고 이에 필요한 재료도 공급받음, 유다 총독으로 12년간 재임함. == 각주 == [1] 넬슨성경개관, 2012년, 조이선교회출판사. 164p [2] 반면에, 라틴어 번역과 영어 번역본에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를 두 권으로 나눈 이유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 '''문서의 독립성''':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각각 다른 저자에 의해 쓰여졌으며, 내용적으로도 구분되는 부분이 많다. 이 두 책은 서로 다른 사건과 인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독립적인 책으로 간주된다. # '''기독교 전통''': 기독교 성경의 편집 과정에서, 성경의 책들이 각기 다른 주제와 메시지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두 권으로 나누어졌다. 이는 독자들이 각 책의 내용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번역의 역사''': 라틴어 성경과 이후의 영어 번역본들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형성된 전통을 따르며, 이 과정에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를 별도의 책으로 편집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시간이 지나면서도 유지되었다. 결과적으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서로 연결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기독교 전통 내에서는 독립적인 책으로 인식되어 두 권으로 나누어졌다. [3]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의 예루살렘의 재건과 성전 회복, 그리고 율법의 회복 [4] [[히브리 성경]]의 정경 정립 과정을 참고할 것. [5] 톰슨II 성경주석(개역개정판), by 강병도(2008년). 기독지혜사. 727p [6]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섯번째 왕중왕, 기원전 465-424년 군림)
에스라-느헤미야
문서로 돌아갑니다.
내용 폭 제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