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ted_wiki
검색
검색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말라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
말라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관리자
.
이 문서는 편집하거나 다른 명령을 할 수 없도록 보호되어 있습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개요 == 분명히 제2성전에 들어갈 때 보였던 처음의 열심은 사라지고 식어짐과 동시에 제의 의식까지 무시하기에 이르고 말았다. 이에 말라기 선지자는 도덕적인 각성을 촉구하며 메시야를 알리는 하나님의 사자를 소개한다.[1] == 저자 == 말라기; '나의 사자(messenger)'라는 뜻의 이름. 구약의 마지막 선지자이자 마지막 책을 기록했다.[2] == 그리스도의 오심 == 말라기의 예언→신약의 성취(세례 요한과 예수 그리스도)[3] # 언약의 사자, 자기 백성을 깨끗케 하신다(3:1,3) # 다가올 심판(4:1) # 자기 백성을 치유(4:2) # 앞서온 사람은 주님의 오심을 예비(3:1, 4:5) == 신구약 중간기 == 400년의 침묵.(기원전 420년부터 세례요한의 사역이 시작된 서기 20년경까지) (이스라엘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2%EC%84%B1%EC%A0%84%EA%B8%B0 제2성전기][4]와 거의 일치한다.) === 주요사건; [5] === # 알렉산더 대왕의 그리스 제국(마케도니아) 등이 이스라엘을 정복함(기원전 332년) #*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D%86%A8%EB%A0%88%EB%A7%88%EC%9D%B4%EC%98%A4%EC%8A%A4_%EC%99%95%EA%B5%AD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기원전 323년~198년) (이집트 기반) #* [https://ko.wikipedia.org/wiki/%EC%85%80%EB%A0%88%EC%9A%B0%EC%BD%94%EC%8A%A4_%EC%A0%9C%EA%B5%AD 셀레우코스 제국] (~기원전 143년) (시리아 기반) #*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A7%88_%EC%A0%9C%EA%B5%AD 로마 제국] (기원전 63년~서기 135년) # 히브리어 성경이 그리스어로 번역됨(70인역) (기원전 300년경) # 유대인 공동체가 흩어져 살면서 예배와 교육의 장소로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82%98%EA%B3%A0%EA%B7%B8 회당]이 중요해짐. 이는 성전의 대체 역할을 하였고, 유대교의 신앙과 공동체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헬레니즘 제국의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D%8B%B0%EC%98%A4%EC%BD%94%EC%8A%A4_4%EC%84%B8_%EC%97%90%ED%94%BC%ED%8C%8C%EB%84%A4%EC%8A%A4 안티오코스 4세]가 유대교를 억압하고 그리스 신앙을 강요함에 따라, 예루살렘에서 [[wikipedia:Maccabean_Revolt|마카베오 혁명]]이 일어남(기원전 167~160년). (이에 따라 예수 당시 유대인들은 로마 압제자들을 몰아내기 위해 메시아를 요구함.)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8A%88%EB%AA%A8%EB%82%98%EC%9D%B4_%EC%99%95%EA%B5%AD 하슈모나이 왕국] (기원전 154년~63년) # [https://ko.wikipedia.org/wiki/%EC%99%B8%EA%B2%BD 외경](Apocryph)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A%B2%BD 위경](Pseudepigrapha) 그리고 사해문서(Dead Sea Scrolls) #* 외경;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저작이나 의심스러운 출처의 작품들이다. 따라서 개신교 성경은 구약 정경에 이 책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 위경; 거짓으로 인용된 작품, 주장된 저자가 진짜 저자가 아닌 텍스트 또는 진짜 저자가 과거의 인물에게 귀속시킨 책이다. #* 사해문서; ([[성경#사해사본(死海寫本)|성경]] 위키문서의 '성경 기록과 번역의 역사'을 참고할 것.) # [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A6%AC%EC%83%88%ED%8C%8C 바리새인]과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B%91%90%EA%B0%9C%ED%8C%8C 사두개인]의 부상, 그리고 [https://ko.wikipedia.org/wiki/%EC%82%B0%ED%97%A4%EB%93%9C%EB%A6%B0 산헤드린] #* 사두개인은 성전과 연결되어 있다. 대제사장은 이 집단에서 나왔다. #* 바리새인들은 회당과 연결되어 있었고 그들은 지역 교사가 되었다. #* 산헤드린은 그리스 시대부터 권력을 유지해 온 유대인의 통치 위원회이다. #* 서기관은 교사이며 히브리어 성경의 보존에 가장 많이 관여한 사람들이다. #* [[wikipedia:Essenes|에세네파]]; 쿰란 공동체라고 불리는 유대교 유파이다. 기원전 2세기에 형성되어 기원후 1세기에 사라졌다. #* [https://ko.wikipedia.org/wiki/%EC%97%B4%EC%8B%AC%EB%8B%B9 열심당(젤롯당)]; 로마제국의 통치에 폭력항쟁으로 맞설 것을 주장한 유대의 종교적 민족주의 정치 운동이다. (신구약 중간기의 연표를 보려면 구글에서 '[https://www.google.com/search?q=timeline+of+the+intertestamental+period&sca_esv=06c568487881745e&sca_upv=1&udm=2&biw=1094&bih=1155&sxsrf=ADLYWIJmIDAOIbJFzg-cbm1tBYTfyuprpQ%3A1726839753853&ei=yXvtZtTmM53l2roPjIzJ6Qg&oq=The+Intertestamental+Period&gs_lp=Egxnd3Mtd2l6LXNlcnAiG1RoZSBJbnRlcnRlc3RhbWVudGFsIFBlcmlvZCoCCAEyBxAAGIAEGBMyCBAAGBMYBxgeSI8UUABYAHABeACQAQCYAQCgAQCqAQC4AQHIAQCYAgGgAgOYAwCIBgGSBwExoAcA&sclient=gws-wiz-serp timeline of the intertestamental period]'를 검색할 것.) == 각주 == [1] 톰슨II 성경주석(개역개정판), by 강병도(2008년). 기독지혜사. 1327p [2] Nelson's complete book of Bible maps and charts. by Thomas Nelson(1993년), 3rd edition. 조이선교회 역/출판. 290p [3] Ibid., 292p [4] 제2성전기는 유대인의 역사에서 예루살렘에 제2성전(스룹바벨 성전, 나중에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2%EC%84%B1%EC%A0%84 헤로데 성전]으로 확장)이 재건된 기원전 516년에서 서기 70년까지(파괴된)의 시기를 말한다. [5] Cornerston church의 [https://www.cornerstonechurch.co.za/the-inter-testamental-period/ 블로그], Christianity.com의 [https://www.christianity.com/church/church-history/what-intertestamental-period.html 신구약 중간기란 무엇인가?]
말라기
문서로 돌아갑니다.
내용 폭 제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