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성경해석: 두 판 사이의 차이

ted_wiki
새 문서: [https://ko.wikipedia.org/wiki/%EC%97%AD%EC%82%AC%EC%A0%81_%EC%84%B1%EA%B2%BD%ED%95%B4%EC%84%9D 역사적 성경해석]은 성경을 해석할 때, 성경을 단순한 문자 그대로가 아닌, 성경 본문과 관련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는 해석 방법이다. 이러한 해석 방법은 성경이 쓰여진 시대의 사람들이 어떤 의미로 이 글을 이해했을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4세기 초 기독교가...
 
잔글 "역사적 성경해석" 문서를 보호했습니다 ([편집=관리자만 허용] (무기한) [이동=관리자만 허용] (무기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서방교회의 종교개혁의 찬성파인 루터와 칼뱅과 같은 개신교 종교개혁가들은 성경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역사적 성경해석 방법에 인문주의자들의 언어적-역사적 방법을 수용하였다. 그들은 이 방법을 통하여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6%AC%EA%B2%8C%EB%84%A4%EC%8A%A4 오리게네스]에서 유래한 서방교회의 중세기 해석가들의 [https://ko.wikipedia.org/wiki/4%EC%A4%91%EC%A0%81_%EC%9D%98%EB%AF%B8%EC%9D%98_%ED%95%B4%EC%84%9D 4중적 의미의 해석]을 반대하고 역사적이며 문법 즉 문장 구조의 의미를 강조했다. 개혁 반대파가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주요 교부들만의 전통과 교황의 권위에 의하여 성경을 해석하는 것을 반대하고, 성경이 성경을 통해 해석되는 원리인 역사적 성경해석을 주장했다.
서방교회의 종교개혁의 찬성파인 루터와 칼뱅과 같은 개신교 종교개혁가들은 성경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역사적 성경해석 방법에 인문주의자들의 언어적-역사적 방법을 수용하였다. 그들은 이 방법을 통하여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6%AC%EA%B2%8C%EB%84%A4%EC%8A%A4 오리게네스]에서 유래한 서방교회의 중세기 해석가들의 [https://ko.wikipedia.org/wiki/4%EC%A4%91%EC%A0%81_%EC%9D%98%EB%AF%B8%EC%9D%98_%ED%95%B4%EC%84%9D 4중적 의미의 해석]을 반대하고 역사적이며 문법 즉 문장 구조의 의미를 강조했다. 개혁 반대파가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주요 교부들만의 전통과 교황의 권위에 의하여 성경을 해석하는 것을 반대하고, 성경이 성경을 통해 해석되는 원리인 역사적 성경해석을 주장했다.


== 역사적 성경해석의 주요 학자 ==
== 주요 학자 ==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B%A5%B4%ED%8B%B4_%EB%A3%A8%ED%84%B0 마르틴 루터]''':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역사적 해석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B%A5%B4%ED%8B%B4_%EB%A3%A8%ED%84%B0 마르틴 루터]''':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역사적 해석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2024년 9월 14일 (토) 16:36 기준 최신판

역사적 성경해석은 성경을 해석할 때, 성경을 단순한 문자 그대로가 아닌, 성경 본문과 관련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는 해석 방법이다. 이러한 해석 방법은 성경이 쓰여진 시대의 사람들이 어떤 의미로 이 글을 이해했을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4세기 초 기독교가 공인된 이후 보편 교회의 성경해석 기본이었으며, 알레고리 해석은 보조적으로 활용되었다. 16세기 서방교회 종교개혁을 거치면서 개신교회에서 재조명되어 현재의 성경신학의 기초가 되었다.

종교개혁가들의 사용

서방교회의 종교개혁의 찬성파인 루터와 칼뱅과 같은 개신교 종교개혁가들은 성경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역사적 성경해석 방법에 인문주의자들의 언어적-역사적 방법을 수용하였다. 그들은 이 방법을 통하여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오리게네스에서 유래한 서방교회의 중세기 해석가들의 4중적 의미의 해석을 반대하고 역사적이며 문법 즉 문장 구조의 의미를 강조했다. 개혁 반대파가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주요 교부들만의 전통과 교황의 권위에 의하여 성경을 해석하는 것을 반대하고, 성경이 성경을 통해 해석되는 원리인 역사적 성경해석을 주장했다.

주요 학자

마르틴 루터: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역사적 해석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장 칼뱅: 개혁주의 신학의 대표적인 학자로, 성경 본문의 문법적, 역사적 의미를 강조했다.

벤자민 워필드: 18세기 영국의 성서 학자. 성경의 연대기적 순서를 연구하고 역사적 비평 방법을 도입했다.

율리히 욀리거: 19세기 독일의 신약학자. 신약 성경의 역사적 배경과 저자를 연구했다.

루돌프 불트만: 20세기 독일의 신약학자. 예수의 말씀을 당시의 문화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해석하는 데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