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뱅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d_wiki
칼뱅주의
잔글 "칼뱅주의" 문서를 보호했습니다 ([편집=관리자만 허용] (무기한) [이동=관리자만 허용] (무기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프랑스 기독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자,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_%EC%B9%BC%EB%B1%85 장 칼뱅(Jean Calvin], 영어식으로는 존 칼빈John Calvin으로 표기한다)이 [https://ko.wikipedia.org/wiki/%EC%A2%85%EA%B5%90_%EA%B0%9C%ED%98%81 종교개혁]을 통해 체계화되어 개신교의 주요 신학 중 하나로 자리잡은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9%BC%EB%B1%85%EC%A3%BC%EC%9D%98 위키피디아1)]  
프랑스 기독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자,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_%EC%B9%BC%EB%B1%85 장 칼뱅(Jean Calvin], 영어식으로는 존 칼빈John Calvin으로 표기한다)이 [https://ko.wikipedia.org/wiki/%EC%A2%85%EA%B5%90_%EA%B0%9C%ED%98%81 종교개혁]을 통해 체계화되어 개신교의 주요 신학 중 하나로 자리잡은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9%BC%EB%B1%85%EC%A3%BC%EC%9D%98 위키피디아1)]  


[https://ko.wikipedia.org/wiki/%EA%B0%9C%ED%98%81%EC%A3%BC%EC%9D%98 개혁주의]와 동의어로 쓰인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B%A1%9C%EA%B5%90 장로교회]와 [https://ko.wikipedia.org/wiki/%EA%B0%9C%ED%98%81_%EA%B5%90%ED%9A%8C 개혁교회]에서 따르는 신학노선이며 [https://ko.wikipedia.org/wiki/%EC%9B%A8%EC%8A%A4%ED%8A%B8%EB%AF%BC%EC%8A%A4%ED%84%B0_%EC%8B%A0%EC%95%99%EA%B3%A0%EB%B0%B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및 대/소요리로 불리는 고유의 신조(Creed)를 갖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0%9C%ED%98%81%EC%A3%BC%EC%9D%98 개혁주의]와 동의어로 쓰인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B%A1%9C%EA%B5%90 장로교회]와 [https://ko.wikipedia.org/wiki/%EA%B0%9C%ED%98%81_%EA%B5%90%ED%9A%8C 개혁교회]에서 따르는 신학노선이며 [https://ko.wikipedia.org/wiki/%EC%9B%A8%EC%8A%A4%ED%8A%B8%EB%AF%BC%EC%8A%A4%ED%84%B0_%EC%8B%A0%EC%95%99%EA%B3%A0%EB%B0%B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및 대/소요리로 불리는 고유의 신조(Creed)를 갖고 있다.


== 정의 ==
== 정의 ==
8번째 줄: 8번째 줄:
성경말씀에 근거하여 교회와 신학과 믿음의 삶을 항상 개혁한다는 사상으로 정의하며,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는 정신을 공유한다.
성경말씀에 근거하여 교회와 신학과 믿음의 삶을 항상 개혁한다는 사상으로 정의하며,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는 정신을 공유한다.


=== 특징 ===
== 특징 ==
 
# 말씀과 성령을 함께(cum verbo) 강조한다.
# 말씀과 성령을 함께(cum verbo) 강조한다.
# 하나님의 절대주권론
# 하나님의 절대주권론
# 계약신학(언약신학, Covenant Theology)
# 이중예정론
# 이중예정론
#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5%B4%ED%8A%B8_%EC%8B%A0%EC%A1%B0 도르트 신조]-"TULIP"(전적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적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5%B4%ED%8A%B8_%EC%8B%A0%EC%A1%B0 도르트 신조]-"TULIP"(전적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적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 직업소명설
# 직업소명설


=== 도서 ===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C%84%AF_%EC%86%94%EB%9D%BC 다섯 솔라] ==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36년)
칼뱅주의의 교리는 다섯 솔라(Sola, '오직'이라는 뜻)로 요약할 수 있다.
 
* '''Sola Scriptura'''(오직 성경): 진리냐 아니냐의 유일한 권위는 기독교 교리의 유일한 원천인 성경에 있다는 뜻.
* '''Solus Christus'''(오직 그리스도): 구원의 유일한 길은 십자가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덧입는 것뿐.
* '''Sola Gratia'''(오직 은혜):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선물'로서 하나님이 인간 쪽에 아무런 조건을 찾지 않는다.
* '''Sola Fide'''(오직 믿음): 하나님이 주시는 구속의 은혜는 오직 믿음을 통하여 받을 뿐이지 다른 어떤 공로를 요구되지 않는다.
* '''Soli Deo Gloria'''(오직 하나님께 영광): 구원은 하나님이 시작하고 완성하시는 일이며 거기에 인간이 참여하는 부분은 없다.
 
== 도서 ==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B%8F%85%EA%B5%90_%EA%B0%95%EC%9A%94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36년)

2024년 9월 14일 (토) 16:36 기준 최신판

프랑스 기독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자, 장 칼뱅(Jean Calvin, 영어식으로는 존 칼빈John Calvin으로 표기한다)이 종교개혁을 통해 체계화되어 개신교의 주요 신학 중 하나로 자리잡은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 위키피디아1)

개혁주의와 동의어로 쓰인다. 장로교회개혁교회에서 따르는 신학노선이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및 그 대/소요리로 불리는 고유의 신조(Creed)를 갖고 있다.

정의

역사적으로 교회와 성직자 중심의 로마카톨릭 교회에 반대하여 루터가 성경의 권위와 이신칭의를 근거로 종교개혁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후기의 루터는 적극적으로 신학 전반과 삶의 성경적 변화에 전진하지 못하였다. 종교 개혁의 2세대에 속한 칼뱅은 보다 더 성경에 근거하여 철저한 개혁을 강조하였다.

성경말씀에 근거하여 교회와 신학과 믿음의 삶을 항상 개혁한다는 사상으로 정의하며,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는 정신을 공유한다.

특징

  1. 말씀과 성령을 함께(cum verbo) 강조한다.
  2. 하나님의 절대주권론
  3. 계약신학(언약신학, Covenant Theology)
  4. 이중예정론
  5. 도르트 신조-"TULIP"(전적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적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6. 직업소명설

다섯 솔라

칼뱅주의의 교리는 다섯 솔라(Sola, '오직'이라는 뜻)로 요약할 수 있다.

  • Sola Scriptura(오직 성경): 진리냐 아니냐의 유일한 권위는 기독교 교리의 유일한 원천인 성경에 있다는 뜻.
  • Solus Christus(오직 그리스도): 구원의 유일한 길은 십자가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덧입는 것뿐.
  • Sola Gratia(오직 은혜):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선물'로서 하나님이 인간 쪽에 아무런 조건을 찾지 않는다.
  • Sola Fide(오직 믿음): 하나님이 주시는 구속의 은혜는 오직 믿음을 통하여 받을 뿐이지 다른 어떤 공로를 요구되지 않는다.
  • Soli Deo Gloria(오직 하나님께 영광): 구원은 하나님이 시작하고 완성하시는 일이며 거기에 인간이 참여하는 부분은 없다.

도서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3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