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참고 개념 == | == 참고 개념 == | ||
Reception History (수용사): 교회가 성경 본문을 어떻게 읽고, 해석하고, 사용했는가를 연구하는 | Reception History (수용사): 교회가 성경 본문을 어떻게 읽고, 해석하고, 사용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 ||
Functional Equivalence (기능적 등가): 의미 중심 번역에서 자주 쓰이며, 문자적 정확성보다 수용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주는 번역을 우선하는 관점. 전례적 번역과도 | Functional Equivalence (기능적 등가): 의미 중심 번역에서 자주 쓰이며, 문자적 정확성보다 수용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주는 번역을 우선하는 관점. 전례적 번역과도 맞닿는다. |
2025년 5월 9일 (금) 11:28 판
여기서는, 교회 전통과 맞닿은 번역 및 어휘 선택의 문제를 다룬다.
신학적 번역 (Theological Translation)
단순히 원문의 문자적 의미를 옮기는 것이 아니라, 신학적으로 정립된 해석 전통이나 교의적 신념을 반영하여 번역하는 방식.
예시: 이사야 7:14에서 "알마"를 *처녀(παρθένος)*로 번역한 70인역의 선택
정경적 번역 (Canonical Translation)
성경이 정경(canon)으로 사용되는 문맥, 즉 교회가 그것을 공적 신앙 고백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번역하는 방식으로, 성경 본문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되어왔는가를 반영한다. 이는 전례, 설교, 신조와의 일관성을 우선한다.
용례: 시편의 셀라를 Διάψαλμα로 바꾸거나, 예배용 시편에서 구절 구조를 재배치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
교의적 해석 번역 (Dogmatic Translation / Doctrinal Translation)
특정 교의(dogma)-예를 들면 삼위일체, 성육신, 동정녀 탄생 등-을 지지하거나 정통 해석과 충돌하지 않도록 조정된 번역.
예시: 요한복음 1:1에서 “καὶ Θεὸς ἦν ὁ Λόγος”에서 ‘하나님’에 관사를 넣지 않은 선택은 성자의 신성을 교의적으로 명확히 하려는 번역적 판단일 수 있음.
전례적 번역 (Liturgical Translation)
예배(Liturgy)나 공적 낭송에서 사용되기 적절하도록 리듬, 구조, 명료성, 신학적 함의 등을 고려한 번역.
대표적 특징: 반복 구조 강조, 청중의 반응 유도, 음악적 용이성
시편의 Διάψαλμα, 문장 단락 나누기, 독서시기 교독 구조 등에서 이 방식이 보임.
참고 개념
Reception History (수용사): 교회가 성경 본문을 어떻게 읽고, 해석하고, 사용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Functional Equivalence (기능적 등가): 의미 중심 번역에서 자주 쓰이며, 문자적 정확성보다 수용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주는 번역을 우선하는 관점. 전례적 번역과도 맞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