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비평학: 두 판 사이의 차이

ted_wiki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이 위키문서는 현대 성경 본문비평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들을 소개한다. (본문비평학의 기본 개요는 성경 위키문서를 참고 할 것)
이 위키문서는 현대 성경 본문비평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들을 소개한다. (본문비평학의 기본 개요는 [[성경#표준원문(TR)과 웨스트코트-홀트(WH) (신약성서의 비평본문)|성경]] 위키문서를 참고 할 것)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프로젝트
!프로젝트

2025년 6월 24일 (화) 13:28 판

이 위키문서는 현대 성경 본문비평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들을 소개한다. (본문비평학의 기본 개요는 성경 위키문서를 참고 할 것)

프로젝트 내용 상태
HBCE (Oxford Hebrew Bible) 원형 히브리어 본문 복원 일부 출간 중
BHQ (Biblia Hebraica Quinta) MT 기반 + DSS 등 본문비평 2030년대 완간 예정
DJD (Dead Sea Scrolls) 사해사본 전체 비평판 대부분 출간 완료, 일부 연구 중
Göttingen LXX 정본 칠십인역 비평판 2/3 이상 완료
Hexapla Project 헥사플라 복원 일부 출간 (욥기), 진행 중
Textual History of the Bible (THB) 본문 전승사 총람 출간 중, 매우 중요

현대 성경 본문비평학의 흐름은, ① 마소라 본문(MT) 정본화 및 고대 대역[a](헥사플라)의 정리·복원, ② 사해사본(DSS)의 발견 이후 전통 재편(쿰란Qumran 사본 발견(1947~)으로 인해 MT의 독점적 지위 약화, LXX, SP, DSS 등 다원적 히브리어 전통의 존재가 재조명됨⇒ 본문비평은 “하나의 정본”이 아니라 “복수의 본문군”을 가정하게 됨; 다중 히브리어 전통 수용), ③ 전승사와 본문 계열 전체를 거시적, 통합적으로 조망(본문 전승의 역사 구조 분석)하는 3단계로 볼 수 있다.

Hebrew Bible: Critical Edition (HBCE, 과거 OHT)

원형 히브리어 성경”의 복원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 이름: Oxford Hebrew Bible) 책임편집자는 Ronald Hendel (UC Berkeley)이며 출판사는 SBL Press이다.

  • 마소라 본문(MT)을 기본으로 하지 않음
  • 모든 전통(사해사본, LXX, SP 등)을 고려하여 ‘가장 설득력 있는 원형 본문’을 복원
  • 주해(apparatus)에는 각 전통 간 차이와 번역상의 역사도 함께 제시
출간 현황 (2024 기준)
책임 편집자 출판 여부
사무엘서 David Carr 2021년 출간됨
창세기 Ronald Hendel 2018년 출간됨 (Genesis 1–11)
레위기 Hieke 초고 완료 단계로 알려짐, 공식 출간일 미정
신명기 Rösel 작성 및 교정단계로 알려짐, 공식 출간일 미정

Biblia Hebraica Quinta (BHQ)

마소라 본문 기반의 비평판 히브리어 성경 시리즈(BHS 후속)로 독일성서공회 출판사에서 출간한다.

출간 현황 (2025년 기준 약 20권 중 완간 진행 중)
출간 여부
룻기, 잠언, 창세기, 사무엘상하, 이사야, 예레미야 등 출간
여호수아, 민수기, 시편 등 2030년대 예상 완간

The Dead Sea Scrolls Editions (DJD 시리즈)

시해사본 전 사본에 대한 정본 비평판 시리즈(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약칭 DJD)로 출판사는 Oxford University Press이다.

여전히 일부 미공개 파편들에 대한 학술 분석 및 편집이 진행 중이다.

The Göttingen Septuagint (LXX: Göttingen Edition)

괴팅겐판 칠십인역으로 알려진, 가장 학술적으로 정교한 칠십인역 비평판이다. 출판사는 Vandenhoeck & Ruprecht (Germany)이다.

진행 현황
구약 책 출간 여부
창세기, 시편, 이사야, 예레미야 등 출간
열왕기상하, 학개, 스가랴 등 진행 중

총 50권 이상 예상되며 2020년 기준 약 2/3 완료하였다.

The Hexapla Project

이 프로젝트는, 오리게네스(Origen, 3세기)의 『헥사플라(Hexapla)』를 복원을 시도하는 것으로 Oxford University 산하 연구 네트워크, Oxford Centre for Late Antiquity (OCLA)와 Birmingham University, TU Dresden, KU Leuven, 등 유럽 여러 고전문헌·비평학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협력하고 있다.

헥사플라는 히브리어 본문 + 5개 그리스어 역본을 나란히 배열한 6단 구성의 대역 성경으로, 칠십인역과 고대 히브리어 전승 비교의 가장 중요한 문헌 중 하나이다. 현재 원본은 소실되었고, 교부들의 인용, 사해사본, 고대 사본들을 통해 복원 중이다.

https://www.ocla.ox.ac.uk/hexapla-project

Hexapla Project 공식 사이트 (hexapla.org) *현재는 연결되지 않음

복원된 본문 일부는 Textual History of the Bible (THB) 프로젝트나 Göttingen LXX와 연결 및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구축 중: 인용 및 조각들을 종합한 Hexaplaric Fragments Digital Edition 공개 예정이라고 한다.

Peeters의 출간; A Critical Edition of the Hexaplaric Fragments of Job 22-42 (2020)

그 외 진행중인 프로젝트들,

구절/책 담당 학자 상태
욥기 1–21 P.J. Gentry 예정됨 (Vol. 2)
다니엘서 헥사플라 판 Benjamin G. Wright 등 자료 정리 중
시편 헥사플라 조각 편집 진행 중 아직 출간되지 않음

이들 대부분은 아직 출간되지 않았고, 예비 데이터베이스 및 디지털 파편 정리 단계에 있다.

오리게네스의 『헥사플라』 원본은 전적으로 소실되어, 대부분 교부들(예: 히에로니무스, 시리아 역본, 필로스트로기우스 등)의 간접 인용의 조각 자료에 의존하여 수세기 동안 파편적으로 보존된 자료를 모으고 교차 정리하는 데 엄청난 노동이 소요되는 난점이 있다.

Textual History of the Bible (THB)

고대 성경 본문의 전승사 및 비평사 개관 시리즈로 총서장은 Armin Lange이며 출판사는 Brill이다.

Part 주제 구성 권수 (예정) 출간 현황
Part I Hebrew Bible 히브리어 성경의 본문 전승 총 3권 Vols 1A, 1B, 1C 출간 완료
Part II Deuterocanonical Scriptures 고대 역본 (LXX, SP, Vulgate, Targum 등) 총 2권 Vols 2A, 2B 출간 완료
Part III A Companion to Textual Criticism 성경 비평과 해석의 역사 1권 출간 완료
Part IV New Testament and Other Traditions 신약 본문 전승과 성경 목록 예정 아직 미출간 (작성 중)

2024년 기준, 현재까지 총 6권이 출간되었으며 전체 시리즈 구성상 파트 4는 아직 출간 전이다. (총 10권 이상 예정)

현재까지 출간된 권 수 (2024년 기준)
권 번호 서명 출간 여부
1A The Text of the Hebrew Bible: Overview
1B Pentateuch to Song of Songs
1C Isaiah to Twelve Prophets
2A Overview and Hebrew Bible/Old Greek
2B Latin, Armenian, Georgian, etc.
3 A Companion to Textual Criticism
4 (전권) 신약 관련 볼륨 ❌ 미출간

각주

[a]

번역 언어 성격 주요 정본화 시도
아퀼라 그리스어 극문자주의 Hexapla Project, 일부 사본 조각
심마쿠스 그리스어 문학적 의역 Hexapla Project 조각
테오도티온 그리스어 LXX와 혼합 Göttingen LXX (특히 다니엘)
불가타 라틴어 히브리 본문 기반 번역 Biblia Sacra Vulgata, Nova Vulgata
사마리아 오경 히브리어 그리심산 강조 SP 정본 + MT/LXX 비교 연구
탈굼 아람어 회당용 번역+해석 The Aramaic Bible, CAL Project

헥사플라(Hexapla)에서 다뤄졌거나, 그 이후 본문비평학과 정경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고대 성경 대역(對譯)들, 즉, 아퀼라, 심마쿠스, 테오도티온, 불가타(Vulgate), 사마리아 오경(SP), 탈굼(Targums) 각각에 대한 정본화 시도와 학술 프로젝트를 아래와 같이 소개;

1. 아퀼라 역본 (Aquila of Sinope)

  • 시기: 서기 2세기 초,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
  • 언어: 그리스어
  • 성격: 극단적으로 문자주의적인 번역, 히브리어 단어 하나당 거의 1:1 번역
  • 목적: 유대교 내에서 LXX에 대한 대안으로 제작됨 (LXX의 기독교적 해석을 거부하기 위함)
  • Hexapla Project 내에서 조각(fragment) 수집
  • 대표 연구자: Emmanuel Tov, Natalio Fernández Marcos
  • 현대 복원본은 없으며, 주로 교부들의 인용, 헥사플라 잔본, 시리아 역본 등을 통해 재구성 (현재 파편만 존재, 전권 복원 불가능)

2. 심마쿠스 역본 (Symmachus)

  • 시기: 서기 2세기 말
  • 언어: 그리스어
  • 성격: 우아하고 문학적인 의역, 당시 헬레니즘 문화권의 교양층을 위한 번역으로 평가
  • 종교적 배경: 유대교 이단 에비온파 계열 가능성 제기
  • 역시 Hexapla Project 및 Göttingen LXX 시리즈 내 일부 인용 정리
  • 전체 판은 없고, 주로 오리게네스의 헥사플라에서 인용된 파편들을 통해 일부 복원 (의역 특성상 원형 추정 어려움)

3. 테오도티온 역본 (Theodotion)

  • 시기: 서기 2세기 중반, 아퀼라보다 약간 늦음
  • 언어: 그리스어
  • 성격: LXX보다 약간 더 히브리어에 충실하지만, 전통적인 LXX와 가까움
  • 특이점: 다니엘서의 경우 테오도티온 역본이 기독교 정경으로 채택됨 (LXX의 다니엘은 삭제됨)
  • Göttingen LXX의 다니엘서 비평판은 테오도티온 본문 포함
  • 헥사플라 조각 자료 및 사본들을 통해 복원 중 (일부서만 포함, 독립 정본은 없음)

4. 불가타 (Vulgate)

  • 번역자: 히에로니무스 (St. Jerome), 서기 382–405년
  • 언어: 라틴어
  • 성격: 당시 이용 가능한 히브리어 원문 및 LXX 비교 후 히브리어 본문 중심으로 번역
  • 의의: 중세 유럽 천년 간의 정경적 성경 → 라틴 교부들의 표준 성경이자, 16세기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공인 정경
  • Biblia Sacra Vulgata (Stuttgart Vulgate) 완간
  • Nova Vulgata: 가톨릭 현대 공인판 (1979, 완간), 본문비평 반영된 표준판
  • Beuron Vetus Latina Project: Vulgate 이전의 고(古)라틴어 성경 복원 연구 (총 27권 계획중 20권 이상 출간되었으나 특히 시가서, 예언서 등은 미출간이며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이미 출간된 것도 비평 주해 없이 단순 수집판에 가까운 경우가 많음) (현재의 대표판본은 Beuron Vetus Latina Volumes임)

5. 사마리아 오경 (Samaritan Pentateuch, SP)

  • 언어: 히브리어 (사마리아 문자)
  • 성격: 모세오경만 정경으로 인정, 사마리아 공동체에서 보존
  • 특징: 예루살렘 대신 그리심산 강조, 약 6,000개 정도의 MT와의 차이
  • Ben-Hayyim Edition (1959–1981): 고전 정본 (5권 출간 완료, 제한적 목적의 정본-본문비평 주해 없음, 히브리어 원문 + 주석 (이스라엘 아카데미))
  • Samaritan Pentateuch (Samaritainum): 현대 비교판 (SP–MT–LXX Comparative Editions/ Tov, Tal, Schorch 등 다양한 학자들의 병렬 대조판) (통일된 비평판 아니며, 다양한 출간본 존재)
  • Schroeder Edition(Codex B): SP 고문자 복원 + 도판 중심 (Paul Kahle, August von Gall, 또는 modern facsimile 판본들)
  • 연구자: Emanuel Tov, Frank Moore Cross 등
  • BHQ 및 HBCE 주해에 적극 반영

6. 탈굼 (Targums)

  • 언어: 아람어
  • 용도: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회당 예배용 번역 및 해설
  • 주요 버전:
    • Targum Onkelos (모세오경 중심, 보수적)
    • Targum Jonathan (예언서)
    • Targum Neofiti 등
  • The Aramaic Bible Series (Liturgical Press, 20권 이상 거의 완간): 영어 주석과 함께 탈굼 전체 번역·주해 출간 (사실상 거의 완간, 오경, 역사서, 예언서 등 대부분 출간되었으며, 일부 권은 공동번역이나 요약 주석으로 처리되었음, 다만 완전한 주해와 텍스트 비평을 모두 포함하는 엄밀한 의미의 "전권 비평판"은 아님)
  • CAL (Comprehensive Aramaic Lexicon Project): 탈굼 원문 전산화 프로젝트 (Cincinnati Hebrew Union College, 원문 디지털 완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