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성경

ted_wiki
Ted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9월 17일 (화) 20:43 판 (새 문서: 여기서는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타나크, Tanakh)를 다룬다. == 정경의 정립 과정 == # '''구술 전통''': 초기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와 신앙은 구술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여러 이야기와 법규가 형성되었다. # '''문서화''':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시작된 문서화 과정에서 모세오경(토라)과 다른 역사서들이 기록되었다. 이 시기에 성경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 '''다양한 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여기서는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타나크, Tanakh)를 다룬다.

정경의 정립 과정

  1. 구술 전통: 초기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와 신앙은 구술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여러 이야기와 법규가 형성되었다.
  2. 문서화: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시작된 문서화 과정에서 모세오경(토라)과 다른 역사서들이 기록되었다. 이 시기에 성경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3. 다양한 문서들: 기원전 6세기에서 5세기 사이, 바벨론 포로기 동안 여러 문서들이 작성되어 유대 공동체 내에서 사용되었다. 이들 문서 중 일부는 후에 정경으로 인정받았다.
  4. 랍비들의 논의: 기원후 1세기부터 2세기 사이, 유대교의 랍비들은 어떤 책들이 정경에 포함될지를 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신뢰성, 신앙의 일관성, 공동체의 사용 등이 고려되었다.
  5. 정경의 확립: 기원후 2세기경, 랍비들은 공식적으로 정경을 확립하기 시작했으며,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 그리고 다른 서적들이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정경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6. 최종 확정: 10세기경, 마이모니데스(Maimonides)[1]와 같은 학자들이 정경 목록을 정리하면서 현재의 히브리 성경이 형성되었다.


[1] Moses ben Maimon(마이모니데스로 알려진)는 12세기 스페인 출신의 유대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주로 "미슈네 토라(Mishneh Torah)"와 "가이드 포 더 페를플렉스(The Guide for the Perplexed)"와 같은 저작으로 유명하다. 그는 유대교의 법과 철학을 통합하려고 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에 유대교와 이슬람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