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인역

ted_wiki
Ted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6월 16일 (월) 09:58 판

성경 위키문서의 칠십인역(개요) 문단을 참고할 것. 여기서는 논쟁이 되는 몇가지만 별도로 다룬다.


1) 칠십인역은 왜 외경(Deuterocanonical books)을 포함했는가?

외경이라 불리는 책들(예: 지혜서, 시락서, 유딧, 토빗, 마카베오서 등)은 기원전 3세기~1세기 사이 팔레스타인 및 디아스포라 유대교에서 널리 읽히던 신앙 문헌이었다. 이들 문서는 종교적 목적뿐 아니라 경건 교육, 유대인 정체성 강화를 위해 작성되었으며, 당시 유대인 디아스포라(특히 알렉산드리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성경 위키문서의 각주(외경)을 참고할 것)

번역자들이 외경을 정경으로 보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들은 헬레니즘 문화권 유대인들이 실제로 읽고 사용하던 책들을 자연스럽게 번역 목록에 포함시켰다. 외경 문서들이 포함된 사본은 정경과 비정경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시대적 특성을 반영한다. 일부 외경 문서는 히브리어 원본 없이 헬라어로만 존재하는 경우도 많아, 후대 랍비 유대교(주후 70년 이후)에서 배제되었지만 초기 그리스도교에서는 널리 사용되었다.

2) 왜 히브리어가 아닌 헬라어로 번역하였는가?

기원전 3세기~1세기 당시, 유대인 디아스포라는 특히 이집트(알렉산드리아)에 많이 분포해 있었고, 그들은 이미 헬라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하고 있었다. 히브리어는 사라지고 있었고, 유대인들조차 히브리어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신앙과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헬라어로 번역이 필요했다. 이는 성경의 내용을 그들의 자녀와 공동체가 이해할 수 있게 하려는 실용적 목적이 강했다.

알렉산드리아 번역의 특별성;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의 도서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율법서(모세오경)가 먼저 번역되었으며, 이후 점차 다른 책들도 번역되었다. 정치적 후원과 종교적 열망이 결합된 문화적 프로젝트였다.

3) 히브리 원문에 없는 메시아 사상을 위한 변개를 했는가?

4) 몸, 귀 번역 논쟁